
| “ 용암표 제일교회의 순교제물 ” 생년월일 : 1901년 4월 21일 출생지 : 평북 용암포 순교일 : 1945년 11월 19일 순교지 : 용암포제일교회 직분 : 장로 교단 : 장로교 |
홍석황은 1901년 평북 용천군 용암포에서 용암포 제일교회 장로 홍승주의 장남으로 태어났다. 홍석황은 교회에서 경영하는 소학교 과정인 구세학교를 졸업한 후 신천으로 나가 신성중학교를 졸업했다. 예수님을 닮으려 애썼던 호석황은 학교에서 목공기술을 익혀 졸업 후에는 고향마을로 도아와 목고소를 차리고 가사를 도왔다.
그런데 졸업하던 이듬해 3.1운동이 터졌다. 홍석황 부자는 밤새워 태극기를 목판에 새겨 태극기를 복사해서 용암포 장날에 3.1만세를 부를 때 그 태극기를 나눠주었다. 목공소를 경형한 홍석황은 물질적으로 여유가 있어 가난하고 불우한 이웃에게 친히 나누어 주어 예수 사랑의 진면목을 보여 주었다.
1931년 홍석황은 30세에 용암포 제일교회에서 할아버지 아버지에 이어 장로가 되어 3대 장로의 가업을 이루게 되었다. 용암포는 비교적 조용한 동리였다. 온 마을의 주민들이 한 가족처럼 살았기에 굶주리는 이들이 없었다.
그러나 해방이 되면서 용암포도 달라지기 시작했다. 김일성이 공산당을 끌고 북한을 강점하고 공산정권을 수립하면서 용암포에도 지각변동이 일기 시작했다. 땅 한 평 갖지 못한 마름들이 불만을 품고 공산주의에 부화뇌동하여 용암포에도 찬바람이 불기 시작했다.
1945년 11월 19일 용암포 구세학교에서 벌어진 소련군 환영대회에 교우들이 착석하지 않았다고 하여 소련군 환영회가 끝나갈 무렵 “민족과 공산주의를 배반한 교회를 타파하자.”라며 곡괭이, 삽, 쇠스랑, 호구 등으로 학교와 교회를 파괴해댔다.
소식을 들은 홍석황장로는 부수어지고 있는 용암표제일교회를 지키기 위해 뛰어 들어갔다. 공산당원들은 담임인 이기혁목사를 외치며 찾았지만 출타 중으로 나타나지 않자 더욱 성을 내던 중 장로인 홍석환이 나타나자 “목사가 없으면 교회의 주인은 장로다!”라며 홍장로에게 몰려들어 쇠스랑으로 홍장로의 등을 찍어 내렸다. 피 흘리며 쓰러진 홍석황장로는 공산당원들에게 짓밟히며 타살되어 45세에 순교하였다.

용인 한국기독교순교자기념관내 홍석황장로순교기념돌비
홍석황은 1901년 평북 용천군 용암포에서 용암포 제일교회 장로 홍승주의 장남으로 태어났다. 홍석황은 교회에서 경영하는 소학교 과정인 구세학교를 졸업한 후 신천으로 나가 신성중학교를 졸업했다. 예수님을 닮으려 애썼던 호석황은 학교에서 목공기술을 익혀 졸업 후에는 고향마을로 도아와 목고소를 차리고 가사를 도왔다.
그런데 졸업하던 이듬해 3.1운동이 터졌다. 홍석황 부자는 밤새워 태극기를 목판에 새겨 태극기를 복사해서 용암포 장날에 3.1만세를 부를 때 그 태극기를 나눠주었다. 목공소를 경형한 홍석황은 물질적으로 여유가 있어 가난하고 불우한 이웃에게 친히 나누어 주어 예수 사랑의 진면목을 보여 주었다.
1931년 홍석황은 30세에 용암포 제일교회에서 할아버지 아버지에 이어 장로가 되어 3대 장로의 가업을 이루게 되었다. 용암포는 비교적 조용한 동리였다. 온 마을의 주민들이 한 가족처럼 살았기에 굶주리는 이들이 없었다.
그러나 해방이 되면서 용암포도 달라지기 시작했다. 김일성이 공산당을 끌고 북한을 강점하고 공산정권을 수립하면서 용암포에도 지각변동이 일기 시작했다. 땅 한 평 갖지 못한 마름들이 불만을 품고 공산주의에 부화뇌동하여 용암포에도 찬바람이 불기 시작했다.
1945년 11월 19일 용암포 구세학교에서 벌어진 소련군 환영대회에 교우들이 착석하지 않았다고 하여 소련군 환영회가 끝나갈 무렵 “민족과 공산주의를 배반한 교회를 타파하자.”라며 곡괭이, 삽, 쇠스랑, 호구 등으로 학교와 교회를 파괴해댔다.
소식을 들은 홍석황장로는 부수어지고 있는 용암표제일교회를 지키기 위해 뛰어 들어갔다. 공산당원들은 담임인 이기혁목사를 외치며 찾았지만 출타 중으로 나타나지 않자 더욱 성을 내던 중 장로인 홍석환이 나타나자 “목사가 없으면 교회의 주인은 장로다!”라며 홍장로에게 몰려들어 쇠스랑으로 홍장로의 등을 찍어 내렸다. 피 흘리며 쓰러진 홍석황장로는 공산당원들에게 짓밟히며 타살되어 45세에 순교하였다.
용인 한국기독교순교자기념관내 홍석황장로순교기념돌비